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대통령실 출입하는 정치부 조영민 차장 나왔습니다. <br> <br>Q1. 당장 모레입니다. 7일 오후 7시에 온 국민의 시선이 모일겁니다. <br><br>민주당이 발의한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대한 국회 표결 일정이 잡힌 겁니다. <br> <br>오늘 0시48분 본회의 보고가 이뤄졌으니, 24시간 이후 그러니까 이르면 내일 새벽 0시48분부터라도 투표에 바로 부칠 수 있지만, 시간을 모레까지 최대한 길게 뒀습니다. <br><br>Q1-1. 미루는 이유가 있겠죠? <br><br>대통령 비상계엄 선포로 여당 분위기 뒤숭숭하죠. <br> <br>최대한 이 혼란의 시간을 길게 두며 이탈 분위기를 끌어 올리는 포석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내일 발표되는 여론조사에서 대통령 지지율 추이도 보고, 토요일 저녁에는 시민단체와 야당이 함께하는 장외집회도 열리죠. <br> <br>최대한 여론을 끌어올려 여당을 압박하겠다는 전략입니다. <br> <br>Q2. 오늘 대통령 탄핵에 대한 여론조사도 나왔잖아요? 결과가 좀 어떻습니까? <br><br>국민 10명 가운데 7명이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대통령 탄핵에 찬성한다는 여론조사입니다. <br> <br>탄핵이 찬성한다는 여론이 73.6%, 반대한다는 여론은 24%를 기록했습니다. <br> <br>계엄 선포와 해제를 겪은 어제 하루동안 진행된 조사인데, 대구경북 지역에서도 찬성 66.2%로 반대보다 2배 가까이 높게 나왔습니다. <br> <br>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표결 당시인 2016년 12월 당시 발표된 조사에서 탄핵 찬성 여론이 81% 수준을 기록한 바 있습니다. <br><br>Q3. 김건희 여사 특검법 재표결도 그날 같이 처리하기로 했죠? <br><br>당초 오는 10일 표결하려던 김 여사 특검법 재표결 역시 7일에 진행됩니다. <br> <br>대통령 탄핵 표결 영부인 특검법 재표결이 한날 한시에 같이 진행되는 것으로, 대통령 부부의 명운이 걸린 날이 된 겁니다.<br> <br>Q4. 왜 그런거에요? <br><br>여당이 대통령 탄핵, 김 여사 특검법 재표결 둘다 막을 경우, 야당 입장에서는 '방탄 정당'이라며 자신들을 비판한 여당에 되물을 수 있을 겁니다.<br><br>대통령 부부 다 막아준 당신들은 뭐냐고요. <br> <br>반대로 생각해보면, 둘 중 하나는 통과 시킬 수 밖에 없지 않느냐는 심적 부담을 안겨주는 효과도 있겠죠. <br> <br>Q5. 대통령 탄핵안 처리부터 보자고요. 친한계를 주목하면 되는 건가요? <br><br>한동훈 대표와 함께 본회의장에 들어가 대통령의 비상계엄 해제에 동의한 의원이 18명이었습니다. <br> <br>때문에 친한계의 선택을 주목하는 것이겠죠.<br><br>다만 국민의힘이 어제 대통령 탄핵안에 대해서 당론 반대를 채택했습니다. <br> <br>한동훈 대표 역시 "대통령 탄핵안 처리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"라고 분명한 입장을 밝혔고요 <br> <br>만약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대통령 탄핵안 처리때에는 단체로 본회의에 불참하는 안도 고려가 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탈자는 본회의장에 들어가야 하니, 단체로 들어가지 않으면 그만큼 이탈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판단이죠. <br> <br>Q6. 탄핵안 처리에 그럼 불안요소는 없다고 봐야하는 건가요?<br><br>대통령의 탄핵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명시적으로 말하는 의원들도 분명히 있기 떄문에 변수입니다.<br><br>안철수 의원이 "끊임없이 고민 중" 이라며 당론과 상관없이 투표할 가능성을 내비쳤고, 김상욱 의원도 대통령이 과연 국정수행이 가능할까 의구심이 든다고 말했습니다.<br> <br>소장파 5명 일단 고민 중이라고 했습니다. <br><br>대통령이 당장 내일 수습책을 내놓지 않거나 수습책을 냈는데 여론에 기름을 부을 경우 여당 의원 몇 명만 돌아서도 탄핵이 위태로운 거죠. <br> <br>Q7. 김건희 여사 특검법은 어때요?<br> <br>사실 대통령 입장에선 본인 탄핵보다 김 여사 특검법이 더 위태롭습니다. <br><br>일단 탄핵은 없다는 한동훈 대표도 김건희 여사 특검법 만큼은 전략적 모호성을 지속하고기 때문이죠. <br><br>한 친한계 의원은 "사실상 김건희 특검법을 막기 어려워진 상황인 것은 맞다" 라고 말하더라고요.<br> <br>또 다른 친한계 인사는 원내지도부의 표단속이 무의미해보인다는 입장도 밝혔습니다. <br> <br>한 관계자는 "추경호 원내대표가 계엄 해제 표결 때 당사에 모아놓고 망신주지 않았느냐"며 원내 리더십이 약해졌고, 어차피 무기명 투표라 부담도 덜하다는 겁니다. <br><br>하지만 김 여사 특검법 통과가 대통령 탄핵과 직결된다는 우려도 여전해, 실제 결과를 예측하기 힘듭니다.<br><br>아는기자 정치부 조영민 차장과는 잠시 후 이야기 더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<br />조영민 기자 ym@ichannela.com